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가상화 중첩화
- BATCH
- APT
- Windows
- 레파지토리
- pip
- Python
- psutil
- Thread
- 자식프로세스
- asyncio
- mariadb
- go.mod
- QT_QPA_PLATFORM_PLUGIN_PATH
- repo
- 파이썬
- docker
- apt-get
- 주식
- 자원측정
- Finance
- go
- FastAPI
- python3.9
- dockercontainer
- 영상스트리밍
- 스트리밍
- Hyper-V
- golang
- Replication
- Today
- Total
목록Thread (2)
검색하기귀찮아서만든블로그
[개요] 파이썬 스레드를 사용할 경우 멀티 코어를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멀티 프로세싱 처리를 해야 한다. 싱글 코어를 사용한 스레딩 처리는 비동기 처리는 가능하지만 스트레스 테스트 환경에서 병목 현상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멀티 프로세싱 처리를 해야 한다. [코드] 아래 코드는 자식 프로세스 5개를 생성하고 자식 프로세스가 5초 동안 대기 후에 종료되는 로직이다. 자식 프로세스에서 처리한 결과를 수집하기 위해 multiprocessing 패키지는 다양한 오브젝트를 제공한다. 아래 코드에서는 Value, Array, Queue를 활용한 결과 수집과 Lock 오브젝트를 활용한 프로세스 동기화 예제를 구현하였다. [중요] - utf-8 코드 일 경우 상단에 # -*- coding: utf-8 -*- 추가. . ..
/* 제가 주로 사용하는 스레드 클래스입니다. 단일 스레드 구조로 만들었고 WaitForSingleObject 보다 WaitForMultiObject 를 주로 사용합니다. 스레드는 종료 이벤트와 사용자 이벤트를 대기합니다. 100ms 마다 타임아웃 동작을 합니다. 스레드 종료 시 최대 1초까지 스레드 종료를 대기하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1. 스레드 생성 : MakeThread() 2. 스레드 사용자 동작 : SetUserThreadEvent() 3. 스레드 종료 : KillThread() */ #include "stdafx.h" #include "afxwin.h" /////////////////////////////////////////////////////////////////////////// //..